top of page

'한 배' 타야 살아남는다

환황해 시대의 전초기지로 떠오른 인천항과 평택·당진항이 이제는 경쟁을 벗어나 상생의 길을 찾아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경쟁력 키우는 상생의 길

인천항 평택항 '공생의 걸림돌'

경쟁에서 협력의 바다로…

'파이 키우기' 함께 노 저어야

인천항과 평택·당진항(이하 평택항)은 국내에서 수도권 관문항과 주요 국가산업단지를 배후에 두고 있는 지역 거점 항만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천항은 국내 2위 컨테이너 항만으로 자리 잡았고, 벌크 물동량은 지난해 기준 여수·광양항과 울산항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평택항은 매년 가장 많은 자동차 처리 실적을 기록하는 등 인천항 다음으로 벌크 물동량이 많다.

컨테이너 물동량도 2015~2019년 동안 연평균 6.4%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부산항과 여수·광양항을 중심으로 하는 정부의 '투 포트 정책' 속에서 국내 입지를 다져 온 결과다.

하지만 인천항과 평택항은 중국의 대형 항만들이 장악하고 있는 동북아 해상운송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국 조선·해운 전문지 로이드리스트에 따르면 인천항은 세계 57위 컨테이너 항만으로 50위권에 머물고 있고, 평택항은 순위권 밖에 있다.

항만 성장을 위해 동북아 해상운송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해야 하는 상황에서 인천항과 평택항은 경쟁 관계 속에 있다. 동북아를 넘어 세계적 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해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의 경쟁이 아닌 항만 코피티션(co-opetition·협력적 경쟁) 관계 구축을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2020121801010005399.jpeg
tnwjd11.png

국가대표 환황해 항만,

동북아 물류 중심으로 '항로 설정'

213.png

인천항과 평택항은 단순 경쟁적 관계에 그치지 않고 '상생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해 9월 인천항만공사와 경기평택항만공사가 체결한 '항만발전을 위한 상생협력관계 구축 협약'이 그 결과물이다

당시 양측이 맺은 협약서는 서두에 '불필요한 물동량 경쟁을 지양하며 양 항만 간 물동량 창출을 위해 함께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국가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호 협력한다'고 적시했다.

양 기관의 이런 움직임은 인천항과 평택항이 협력의 물꼬를 텄다는 의미를 넘어 항만 코피티션(co-opetition·협력적 경쟁)의 관점에서도 상당히 진일보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현재는 코로나19 여파로 협약 내용을 구체화 하기 위한 실무적인 논의가 잠정 중단된 상태다. 또한, 서로 이해관계가 다른 각 항만이 당장의 손익을 추구할 경우 앞으로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2020122201010007530.jpg

인천항만공사와 경기평택항만공사는 지난해 9월 불필요한 물동량 경쟁을 지양하고, 협력 관계 구축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2018년 인천항의 한국지엠 신차 물동량 일부를 평택항으로 옮겨 처리하고자 제너럴모터스(GM)와 현대글로비스 간 체결한 계약 때문에 인천 항만업계가 한때 반발하기도 했다. 사진은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 전경. 

2020122101010007240.png

강동준 인천연구원 연구위원

이상적 '거버넌스 구축' 공감단계부터 협업을

"인천항과 평택·당진항(이하 평택항)이 함께 발전하기 위해선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부분부터 맞춰나가야 합니다."

인천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강동준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서해안권(수도권·경인지역) 항만이 발전하려면 인천항과 평택항이 공동 목표를 가진 통합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이상적이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2019년 세계 컨테이너항만 순위

(단위:컨테이너처리량TEU) / 출처:영국 조선·해운 전문지 로이드리스트

해외항만은 어떻게 경쟁력을 갖췄나

선박의 대형화 추세와 인수합병을 거쳐 몸집을 키운 대형 선사들이 해운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강해지면서 항만들은 코피티션(co-opetition·협력적 경쟁) 전략을 통해 국제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현재까지 정보교환 등 낮은 수준의 교류부터 비용 절감과 위험 분산 효과를 노린 공동 시설 투자, 관리 주체 통합 등 높은 수준의 협력 사례까지 다양한 시도가 이뤄졌다.

400454.png
bottom of page